2025년 마이데이터 중계 인프라 지원: 에너지 혁신, 지금 시작하세요!
2025년 마이데이터 중계 인프라 지원사업
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마이데이터 제도 전면 시행에 발맞춰, 2025년 마이데이터 중계 인프라 실증 지원사업을 공고, 새로운 분야의 선제적 전송요구권 기반 마련에 나섭니다. 본 사업은 참여 기업 및 기관을 모집하여 성공적인 마이데이터 생태계 구축을 지원합니다.
KISA 사업 자세히 보기사업 목표 및 지원 내용
본 사업은 2026년 마이데이터 생태계의 신규 부문 확산에 대비,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의 안정적 처리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실증을 목표로 합니다.
주요 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마이데이터 중계시스템 구축 및 전송 인프라 실증 비용 지원
- 에너지(전기, 도시가스) 분야 마이데이터 중계시스템 모델 개발 및 구축
- 마이데이터 전송 주체별 역할 및 전송 시나리오에 따른 절차, 보안 인증, 표준 API 규격 등 인프라 실증
- 마이데이터 표준 API를 적용한 중계시스템 모델의 정보 제공/수신 시스템 및 전송 지원 플랫폼 연계 시험
인프라 실증 상세 내용
본 사업은 마이데이터 전송 주체별 역할과 전송 시나리오에 따른 절차, 보안 인증, 표준 적용 기술(API 규격) 등 인프라 실증을 지원하며,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
마이데이터 표준 API 적용
마이데이터 표준 API를 중계시스템 모델에 적용하고, 정보 제공/수신 시스템 및 전송 지원 플랫폼 연계 시험을 통해 실증합니다.
지원 대상 및 방식
신규 부문의 마이데이터 중계시스템 구축 및 전송 인프라 실증을 수행할 기업/기관 컨소시엄을 지원하며, 사업자 규모 제한은 없습니다. 중소, 중견, 대기업, 공공/비영리기관 모두 참여 가능합니다.
지원 방식은 상호출자이며, 정부지원금은 총 사업비의 50%~100% 이내로 지원됩니다. 수행기관은 민간부담금(현금+현물)을 부담해야 합니다.
컨소시엄 형태 참여가 필수적이며, 공동수급 관련 세부 사항은 공모안내서를 참고해야 합니다.
정부지원금 및 민간부담금 기준
정부지원금 지원 및 민간부담금 부담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
구분 | 중소기업 | 중견기업 | 대기업 | 공공비영리기관 |
---|---|---|---|---|
정부지원금(A) | 총 사업비의 75% 이내 | 총 사업비의 70% 이내 | 총 사업비의 50% 이내 | 총 사업비의 100% 이내 |
민간부담금(B) | 총 사업비의 25% 이상 | 총 사업비의 30% 이상 | 총 사업비의 50% 이상 | 총 사업비의 0% 이상 |
민간부담금(현금) | 민간부담금의 10% 이상 | 민간부담금의 13% 이상 | 민간부담금의 15% 이상 | 필요시 부담 |
총사업비(A+B) | 100% | 100% | 100% | 100% |
공공비영리기관은 실증 결과물의 공공성, 공익성 등을 고려하여 부담금이 면제될 수 있습니다.
정부지원금은 사업 착수 보고 후 70%, 중간 평가 후 30%가 지급됩니다.
참여 방법 및 컨소시엄 구성
컨소시엄 구성이 필수적이며, 주관/참여기관 포함 총 2개 이상 5개 이하로 구성해야 합니다. 세부 사항은 공모안내서를 확인해야 합니다.
컨소시엄 구성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구분 | 역할 | 필수 여부 |
---|---|---|
컨소시엄 주관기관 | 마이데이터 중계시스템 개발, 인프라 실증, 연계 시험, 가이드라인 검증 및 마련 등 수행 | 필수 |
참여기관 | 주관기관 업무 협력 수행 | 필수 |
수요기관 | 보유 정보 전송수신시스템 환경에 개발된 중계시스템 모델 적용 희망 기관 | 선택 |
기타 협력기관 | 보유 정보 전송수신시스템 환경에 개발된 중계시스템 모델 적용 희망 기관 (컨소시엄 구성원) | 선택 |
선정 절차
총 4단계 심사 절차를 거쳐 사업 수행기관을 선정합니다.
- 1단계: 적합성 검토 - 제출 서류 적정성 및 공고 내용 부합성 등 심사 (KISA 주관)
- 2단계: 선정 평가 - 정책 부합성, 수행 계획 우수성, 사업 전문 역량, 안전성 확보 조치 수준 등 평가 (평가위원회)
- 3단계: 원가 산정 - 신청 기관별 제안 금액에 대한 세부 사업 예산 편성 (외부 전문 기관)
- 4단계: 종합 심의 - 사업 범위 및 예산 심의 조정, 최종 지원 대상 과제 확정 (KISA 주관)
평가의 전문성, 공정성, 객관성 확보를 위해 외부 전문가를 포함한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서면 및 대면 발표 평가를 실시합니다.
평가 점수는 최고, 최저 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점수의 산술 평균으로 산정하며, 발표 평가 70점 이상 컨소시엄 중 고득점 순으로 지원 대상 컨소시엄 순위를 결정합니다.
선정된 수행 기관을 대상으로 사업 계획서 내용 및 지원 제안 금액에 대한 원가 산정, 기술 협상 등 심의 조정 절차를 거쳐 협약을 체결합니다.
협약이 불발될 경우 차순위와 협의하여 추진합니다.
인프라 실증 더보기사업 신청 방법
사업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접수 기간: 2025. 4. 30.(수) ~ 2025. 5. 29.(목) 14:00까지 (14시 이후 접수 불가)
- 접수 방법: KISA 전자계약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접수 (KISA 전자계약시스템)
- 제출 서류: 공모안내서, 신청서식 참고
- 사업 설명회: 2025. 5. 13.(화) 10:00~11:00, HJ 비즈니스센터 광화문점 세미나룸 C (오프라인 진행)
- 문의처: KISA 마이데이터운영팀(TF) 사업담당 (061-820-2682, nov@kisa.or.kr)
질문사항은 서류 제출 마감일 3일 전까지 가능하며, 전화 문의는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. 문서 또는 이메일로 제출해야 합니다.
사업 신청 바로가기문의 안내
본 사업에 대한 문의사항은 KISA 마이데이터운영팀(TF) 사업담당자에게 문의하시면 됩니다. (061-820-2682, nov@kisa.or.kr)
문의하기자주 묻는 질문
본 사업과 관련하여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을 정리했습니다.
-
Q: 지원 대상은 어떻게 되나요?
A: 신규 부문의 마이데이터 중계시스템을 구축하고, 전송 인프라 실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업/기관 간 컨소시엄이 지원 대상입니다. 사업자 규모에는 제한이 없습니다. -
Q: 지원 분야는 어디인가요?
A: 에너지 부문(전기, 도시가스 분야)이 지원 대상입니다. 이는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42조의2제3호에 따른 마이데이터 신규 추진 부문입니다. -
Q: 지원 방식은 어떻게 되나요?
A: 상호출자 방식으로, 정부지원금은 총 사업비의 50%~100% 이내에서 지원됩니다. 수행기관은 민간부담금(현금+현물)을 부담해야 합니다. -
Q: 민간부담금은 어떻게 구성되나요?
A: 민간부담금은 현금과 현물로 구성되며, 기관 유형별로 부담 기준이 다릅니다. 자세한 내용은 공고문 내 '정부지원금 지원 및 민간부담금 부담 기준'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-
Q: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?
A: KISA 전자계약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접수만 가능합니다. 접수 마감일은 2025년 5월 29일 14:00까지이며, 마감 시간 이후 접수는 불가합니다. -
Q: 사업 설명회는 언제, 어디서 진행되나요?
A: 사업 설명회는 2025년 5월 13일(화) 10:00~11:00, HJ 비즈니스센터 광화문점 세미나룸 C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. -
Q: 문의는 어디로 하면 되나요?
A: KISA 마이데이터운영팀(TF) 사업담당자에게 문의하시면 됩니다. (061-820-2682, nov@kisa.or.kr) 질문사항은 서류 제출 마감일 3일 전까지 가능하며, 전화 문의는 효력을 갖지 못합니다.
댓글